이번에는 Kubernetes의 Service를 조금 더 깊게 파고자 한다.
1. Headless
Headless 서비스는 한 Pod가 Service를 거치지 않고 Service 내부에 있는 Pod에 직접 접근하고 싶을 때 사용할 수 있다.
서비스는 Headless를 이용하여 Cluster IP를 설정하지 않고 (None) Pod에 hostname과 subdomin을 부여함으로써 Pod의 DNS를 통해 직접 접근할 수 있다.
2. Endpoint
기존에 서비스 - Pod간 연결은 Selector를 통해 할당이 되는데, Endpoint를 통해 서비스의 이름과 IP 정보를 넣게되면 selector 없이도 연결이 가능하다.
3. ExternalName
외부의 특정 사이트에서 데이터를 가져오는 상황에서 접근 주소를 변경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한 경우, 경로를 수정하기 위해 Pod를 변경하는 것은 굉장히 비효율적일 것이다. 이 때 서비스에 ExternalName을 이용한다면 Pod의 수정없이 외부와 연결이 가능하다.
서비스에 ExternalName 속성을 부여하여 DNS 이름을 저장하게 되면 DNS 캐쉬가 내부, 외부 DNS 주소를 통해 IP를 알아낼 수 있다.
'Cloud Computing > Kubernet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Kubernetes - Authentication, Authorization (0) | 2021.01.22 |
---|---|
Kubernetes - Volume (Dynamic Provisioning) (0) | 2021.01.20 |
Kubernetes - Scheduling (0) | 2021.01.20 |
Kubernetes - Pod Lifecycle (0) | 2021.01.19 |
Kubernetes - DaemonSet, Job, CronJob (0) | 2021.01.18 |